최근 노동 환경 변화와 함께 ‘포괄임금제’가 많은 사업장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. 특히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등 근로시간 측정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포괄임금제를 통해 연장근로수당, 휴일근로수당 등을 미리 포함시켜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어가고 있습니다.하지만 포괄임금제는 법률상 명확히 규정된 제도가 아니라 판례와 관행에 의해 인정되어 온 계약 형태입니다. 이로 인해 잘못 운영될 경우 근로자의 수당 미지급, 최저임금 위반, 퇴직금 손실 등 다양한 법적 분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포괄임금제의 개념과 유형, 도입 요건, 주의사항 등을 근로기준법과 실무 자료를 토대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 1. 포괄임금제란?포괄임금제는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, 일정한 금액의 임..